東京 IT ニュース 詳細
NEW ‘25년 상반기 日디지털적자, 3조 4천억 엔(8.9 니혼게이자이신문)
- 일본 기업과 개인이 사용하는 해외 IT 서비스에 대한 지불 초과가 지속되고 있음. ’25년 상반기 디지털 관련 수지는 3조 4810억 엔의 적자를 기록. 디지털 분야의 경쟁력 저하가 국제수지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 디지털 적자는 향후 10년간 3배가량 확대될 것이라는 추산도 있어, 차세대를 책임질 소득원을 키워야 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음.
- 재무성이 8일 발표한 국제수지 통계에 따르면 경상수지는 14조5988억 엔의 흑자를 기록했으며, 서비스수지는 1조 3779억 엔의 적자를 기록. 특히 디지털 서비스의 해외 지불로 불어나는 디지털 적자가 눈에 띄는 상황.
- 디지털 수지는 서비스 수지 중 클라우드 등 ‘통신·컴퓨터·정보서비스’, 인터넷 광고 등 ‘전문·경영컨설팅서비스’, 동영상·음악스트리밍을 포함한 ‘저작권 등 사용료’로 구성.
- '25년 상반기 적자 규모는 전년 동기(3조 6008억 엔) 대비 3.3% 감소했으나, 역대 두 번째로 많은 적자 수준. 10년 전인 '15년 동기 대비 2.6배로 확대됨.
- 서비스 수지 중 여행수지는 반기 기준 역대 최대인 3조 6065억 엔의 흑자를 기록. 활발한 방일 관광객 수요로 인한 흑자를 디지털 적자가 거의 상쇄하는 구도가 지속되고 있음.
- GAFA 등의 IT대기업에 의존하고 있으며, 검색 서비스나 SNS 등 웹사이트의 광고비 지급이 장기적으로 증가. 코로나19 사태 이후 기업의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과 동영상 스트리밍 등 콘텐츠 시청이 급속도로 확대됨.
- 생성형 AI의 보급도 디지털 적자 확대의 한 요인이라는 지적도 존재. 향후 일본 기업이 디지털화를 추진할수록 적자 폭은 더 커질 가능성이 높음.
- 경제산업성은 지난 4월, 디지털 적자가 ‘35년에 18조 엔으로 확대될 것이라는 자체 모델 추정치를 발표. 국제수지 통계상 6.8조 엔이었던 ’24년과 비교하면 2.6배의 규모. 일본 국내시장에서 외국계 기업이 점유율을 확대할 경우 등의 비관적 시나리오에서는 적자가 28조 엔까지 확대될 것으로 추산했는데, 이는 ‘24년 광물성 연료 수입액인 25조 엔을 넘어서는 수치.
- 디지털 적자가 확대되는 것 자체가 기업의 디지털DX가 진행되고 있다는 측면에서 반드시 문제라고 할 수는 없는 상황. 해외의 디지털 서비스에 이용료를 지불하는 것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일본 기업이 이를 어떻게 활용해 혁신을 창출할 수 있느냐가 중요.
- 경제산업성은 일본에는 연구개발 등을 위한 자금, 디지털 인력, 데이터가 부족하다고 지적. 양자기술의 보급 등 언젠가 다가올 전환기를 내다보고 민관이 함께 기반을 다지는 것이 요구되고 있음.
- 재무성이 8일 발표한 국제수지 통계에 따르면 경상수지는 14조5988억 엔의 흑자를 기록했으며, 서비스수지는 1조 3779억 엔의 적자를 기록. 특히 디지털 서비스의 해외 지불로 불어나는 디지털 적자가 눈에 띄는 상황.
- 디지털 수지는 서비스 수지 중 클라우드 등 ‘통신·컴퓨터·정보서비스’, 인터넷 광고 등 ‘전문·경영컨설팅서비스’, 동영상·음악스트리밍을 포함한 ‘저작권 등 사용료’로 구성.
- '25년 상반기 적자 규모는 전년 동기(3조 6008억 엔) 대비 3.3% 감소했으나, 역대 두 번째로 많은 적자 수준. 10년 전인 '15년 동기 대비 2.6배로 확대됨.
- 서비스 수지 중 여행수지는 반기 기준 역대 최대인 3조 6065억 엔의 흑자를 기록. 활발한 방일 관광객 수요로 인한 흑자를 디지털 적자가 거의 상쇄하는 구도가 지속되고 있음.
- GAFA 등의 IT대기업에 의존하고 있으며, 검색 서비스나 SNS 등 웹사이트의 광고비 지급이 장기적으로 증가. 코로나19 사태 이후 기업의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과 동영상 스트리밍 등 콘텐츠 시청이 급속도로 확대됨.
- 생성형 AI의 보급도 디지털 적자 확대의 한 요인이라는 지적도 존재. 향후 일본 기업이 디지털화를 추진할수록 적자 폭은 더 커질 가능성이 높음.
- 경제산업성은 지난 4월, 디지털 적자가 ‘35년에 18조 엔으로 확대될 것이라는 자체 모델 추정치를 발표. 국제수지 통계상 6.8조 엔이었던 ’24년과 비교하면 2.6배의 규모. 일본 국내시장에서 외국계 기업이 점유율을 확대할 경우 등의 비관적 시나리오에서는 적자가 28조 엔까지 확대될 것으로 추산했는데, 이는 ‘24년 광물성 연료 수입액인 25조 엔을 넘어서는 수치.
- 디지털 적자가 확대되는 것 자체가 기업의 디지털DX가 진행되고 있다는 측면에서 반드시 문제라고 할 수는 없는 상황. 해외의 디지털 서비스에 이용료를 지불하는 것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일본 기업이 이를 어떻게 활용해 혁신을 창출할 수 있느냐가 중요.
- 경제산업성은 일본에는 연구개발 등을 위한 자금, 디지털 인력, 데이터가 부족하다고 지적. 양자기술의 보급 등 언젠가 다가올 전환기를 내다보고 민관이 함께 기반을 다지는 것이 요구되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