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国を、もっと身近なビジネスパートナーへ」

KOTRAは、韓国の国営貿易投資振興機関です。
(所在地:東京都千代田区霞が関3-2-5 霞が関ビル5階)

HOME > 동경 IT 뉴스 > 고속 5G망, 도심지역 80%까지 확대 방침(5.20 니혼게이자이신문)

동경 IT 뉴스 상세

고속 5G망, 도심지역 80%까지 확대 방침(5.20 니혼게이자이신문)

- 총무성은 NTT도코모 등 4대 통신사에 5G 관련 새로운 통신망 목표를 제시. 빠른 통신이 가능한 Sub6라고 불리는 주파수 대역에 대해 2027년도까지 인구가 많은 도시 지역의 커버리지를 현재의 30~40%에서 80%로 확대. AI 보급 등으로 늘어나는 통신량에 대응하겠다는 생각임.
- 정비목표는 총무성이 21일 전문가 회의에서 발표할 보고서 초안에 포함. 전파를 할당하는 총무성은 지난 3월부터 통신사 등과 5G 인프라 정비 협의를 진행해왔으며, 목표는 올 여름경 정식으로 결정될 예정.
- 5G는 높은 주파수 대역의 전파를 사용해 고속으로 대용량 통신이 가능한 반면, 전파가 닿는 범위가 좁아지기 때문에 전용 기지국을 많이 설치해야 함.
- 통신사들은 ‘20년부터 5G 서비스를 속속 시작했으나, 기존 4G의 낮은 주파수 대역을 전용하는 경우가 많아, 5G의 진가를 발휘해야 할 도시 지역에서 5G의 장점인 고속 통신을 충분히 체감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음.
- 5G에 할당된 주파수 대역은 Sub6 외에도 더 빠르고 대용량의 통신이 가능한 mmWave가 존재. 총무성은 mmWave에서도 4개사 합계로 현재의 2배가 넘는 5만국을 설치한다는 목표를 세움.
- mmWave는 전파가 닿는 범위가 더욱 제한적이기 때문에 설치 장소는 상업시설이나 경기장 등 통신량이 많은 특정 시설을 상정하며, 25년 오사카-간사이EXPO 행사장에도 mmWave 5G 기지국을 다수 설치해 효과를 검증하도록 각사에 촉구할 예정.
- 총무성의 움직임에 따라 통신사들도 실제로 고속의 5G 통신망을 확충. KDDI는 '24년 6월 말까지 수도권에서 5G 대응 범위를 2배로 확대하며, 소프트뱅크와 5G 기지국 정비에 대해 협업을 확대할 수 있는지 검토도 시작함.
- 라쿠텐모바일도 연내 커버리지를 1.6배 확대. 인구가 집중되고 통신량이 많은 수도권에 고속 5G가 확산되면 스마트폰으로 동영상 시청이나 게임 등을 사람이 많은 곳에서도 스트레스 없이 즐길 수 있게 됨.
- 총무성 방침은 민간에 대한 구속력은 없으나, 전파를 할당하는 총무성이 정비 목표를 제시하면 각사는 이를 기준으로 사업을 전개.
- 통신사들에게 고속 5G 통신망 정비를 촉구하는 배경에는 생성형 AI와 메타버스 등 신기술의 부상이 존재.
- 미쓰비시종합연구소에 따르면, 일본국내에서 생성형 AI 등 신기술이 보급되면 ’40년 데이터 통신량은 ‘20년 대비 348배까지 늘어날 전망.
- 지금까지 고속통신이 가능한 5G 통신망의 본격적인 정비가 진행되지 않아 일부 스마트폰의 국내 모델이 밀리미터파 비 지원으로 판매되고, 결과적으로 5G에 대응한 서비스 개발도 진행되지 않는 악순환이 계속되고 있음. 총무성은 인프라 정비 촉진을 계기로 5G의 용도 개척을 촉진하겠다는 생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