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경 IT 뉴스 상세
NEW 日정부부처, AI개발·활용 본격화(10.20 니혼게이자이신문)
- 문부과학성 등은 인공지능(AI) 개발과 활용을 강화할 방침. 일본의 강점인 소재 분야에서는 대량의 실험 데이터 분석과 물질 탐색을 하는 AI를 개발. 생명과학 분야에서는 약물과 치료 기술을 시뮬레이션하는 AI를 개발해 신약 개발로 연결. 각종 정책을 통해 반전을 꾀하겠다는 생각이나, 투자와 예산 규모에서 관민 협력은 미·중·유럽이 앞서 있는 상황
- 문부과학성은 관할 대학 및 연구소에서 AI 연구 활용을 추진. AI를 활용해 혁신적인 과학 연구를 추진하는 ‘AI for Science’를 8월에 발표함.
- 실험에서 얻은 데이터를 활용하기 위한 ‘AI 기반 모델’ 개발과 정보 기반 강화를 꾀하며, 재료 분야와 신약개발용 기술 개발을 지원.
- AI를 탑재한 장치나 로봇을 이용해 과학 연구 실험 및 분석을 수행하는 거점도 일본국내에 1~2곳 마련. 24시간 체제로 실험을 원격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하여 시차나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진 전국의 연구자들이 참여할 수 있게 하겠다는 생각.
- 문부과학성은 소관 기관인 이화학연구소가 보유한 정부의 핵심 슈퍼컴퓨터 ‘후가쿠’의 후속 기종 ‘후가쿠 NEXT’ 개발과 일본국내외 연구 시설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학술 정보 네트워크도 강화할 방침.
- 문부과학성 이외의 부처도 대응을 확대. AI 사회를 지탱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인프라 구축이 필수적. 총무성은 차세대 정보통신 기반 ‘Beyond 5G’의 연구개발을 추진. 2030년경 도입을 목표로 하는 초대용량·저지연 통신 기반 ‘올 포토닉스 네트워크(APN)’를 위해 정보통신연구기구(NICT)가 중심이 되어 기업과 대학에 연구개발 관련 비용을 지원.
- 총무성은 이외에도 데이터센터 등의 지방 분산 지원과 일본어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대규모 언어 모델(LLM) 개발에도 예산을 편성.
- 내각부는 AI법 제정을 계기로 AI 활용 관련 최신 동향 조사비 등을 신규로 편성. 정권의 틀에 따라 예산이나 사업은 재편될 가능성이 있음.
- 다만 AI를 과학 연구에 활용하는 대응은 해외에서 앞서 나가고 있는 상황. 미국의 ‘과학, 안보, 기술을 위한 AI 프론티어(FASST)’에서는 방대한 과학 데이터를 AI가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AI-ready’ 상태로 만드는 것과 배터리, 핵융합 등 각 분야에 특화된 응용에 대해 언급하고 있음.
- 문부과학성에 따르면 AI 투자 규모도 미국과 중국 정부의 투자 규모는 일본의 수십 배. 미국 스탠퍼드대학교 인간 중심 AI 연구소의 ‘인공지능 지수 보고서 2025’에 따르면 ,정부 예산 외에도 미국은 민간 투자액이 1000억 달러를 넘어 총액에서 압도적.
- 유럽위원회는 8일, AI 관련 두 가지 전략을 발표. 총액 12억 달러의 정부 관련 자금을 투입해 의료, 제약, 에너지, 모빌리티, 산업, 건설, 농식품, 방위, 통신, 문화 등 모든 과학의 첨단 분야에 응용하겠다고 밝힘.
- 일본국내 정책은 2026년도 예산의 개산 요구에서 제시된 것으로, AI 분야는 국가 과학력을 좌우하는 만큼 실효성이 요구됨.
- 문부과학성은 관할 대학 및 연구소에서 AI 연구 활용을 추진. AI를 활용해 혁신적인 과학 연구를 추진하는 ‘AI for Science’를 8월에 발표함.
- 실험에서 얻은 데이터를 활용하기 위한 ‘AI 기반 모델’ 개발과 정보 기반 강화를 꾀하며, 재료 분야와 신약개발용 기술 개발을 지원.
- AI를 탑재한 장치나 로봇을 이용해 과학 연구 실험 및 분석을 수행하는 거점도 일본국내에 1~2곳 마련. 24시간 체제로 실험을 원격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하여 시차나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진 전국의 연구자들이 참여할 수 있게 하겠다는 생각.
- 문부과학성은 소관 기관인 이화학연구소가 보유한 정부의 핵심 슈퍼컴퓨터 ‘후가쿠’의 후속 기종 ‘후가쿠 NEXT’ 개발과 일본국내외 연구 시설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학술 정보 네트워크도 강화할 방침.
- 문부과학성 이외의 부처도 대응을 확대. AI 사회를 지탱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인프라 구축이 필수적. 총무성은 차세대 정보통신 기반 ‘Beyond 5G’의 연구개발을 추진. 2030년경 도입을 목표로 하는 초대용량·저지연 통신 기반 ‘올 포토닉스 네트워크(APN)’를 위해 정보통신연구기구(NICT)가 중심이 되어 기업과 대학에 연구개발 관련 비용을 지원.
- 총무성은 이외에도 데이터센터 등의 지방 분산 지원과 일본어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대규모 언어 모델(LLM) 개발에도 예산을 편성.
- 내각부는 AI법 제정을 계기로 AI 활용 관련 최신 동향 조사비 등을 신규로 편성. 정권의 틀에 따라 예산이나 사업은 재편될 가능성이 있음.
- 다만 AI를 과학 연구에 활용하는 대응은 해외에서 앞서 나가고 있는 상황. 미국의 ‘과학, 안보, 기술을 위한 AI 프론티어(FASST)’에서는 방대한 과학 데이터를 AI가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AI-ready’ 상태로 만드는 것과 배터리, 핵융합 등 각 분야에 특화된 응용에 대해 언급하고 있음.
- 문부과학성에 따르면 AI 투자 규모도 미국과 중국 정부의 투자 규모는 일본의 수십 배. 미국 스탠퍼드대학교 인간 중심 AI 연구소의 ‘인공지능 지수 보고서 2025’에 따르면 ,정부 예산 외에도 미국은 민간 투자액이 1000억 달러를 넘어 총액에서 압도적.
- 유럽위원회는 8일, AI 관련 두 가지 전략을 발표. 총액 12억 달러의 정부 관련 자금을 투입해 의료, 제약, 에너지, 모빌리티, 산업, 건설, 농식품, 방위, 통신, 문화 등 모든 과학의 첨단 분야에 응용하겠다고 밝힘.
- 일본국내 정책은 2026년도 예산의 개산 요구에서 제시된 것으로, AI 분야는 국가 과학력을 좌우하는 만큼 실효성이 요구됨.